요즘 AWS와 같은 클라우드 환경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취업준비 혹은 개인학습을 위한 개인서버를 구축해보고 그 내용을 정리해 올려봅니다.
개인 서버를 구축하려는 분들에게 도움이되었으면 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아래 댓글로 문의주세요.
프로젝트 진행 전 개인적인 프로젝트 요구사항
- 개인 서버를 구축하여 API서버로 활용하고자 한다.
- 전용 DB까지 함께 구축하고 싶다.
- 클라우드 환경에 프로세스를 띄우고 싶다.
- 스케일 아웃 및 스케일 업이 용이하면 좋겠다.
- 서버 모니터링이 쉽고 간편하고 싶다.
- 어디서든 접근하기 편한 환경 구축이 되면 좋겠다.
의사결정
- 클라우드 개발 환경에서 개발하는 것이 내 요구사항과 적합하다 판단하였습니다.
또한,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찾아보게 되었고
그중 aws의 ec2와 lightSail로 폭을 좁혔습니다.
이때 같은 가격대비 많은 트레픽을 감당할 수 있고, 비교적 가격도 저렴한 lightSail이 개인 서버로 적합하다고 판단.
LightSail은 1TB 트레픽을 제공
이렇게 하여 AWS의 LightSail에서 개인 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환경 : AWS-LightSail
OS : Linux
DB : MySQL
web : Nginx
was : Spring boot
AWS에 접속하여 LightSail서비스를 선택하면 첫 화면입니다. 아직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앞으로 우리가 함께 진행할 순서로
1. 인스턴스 생성.
2. 로컬(개인PC)에서 콘솔 접속
3. MySQL 설치
4. Spring boot 빌드 후 프로세스 실행
5. Nginx 설치
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스턴스 생성에 들어왔습니다.
플랫폼이 크게 윈도우와 리룩스가 보이는데 윈도우는 라이센스 관련 요금이 더 비쌉니다.
우리는 Linux에서 OS전용으로 Amazon Linux를 선택하겠습니다.
이때 앱 + OS는 OS위에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설치된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기능이였습니다. 저희는 빈 Linux에서 하나씩 직접 설치해보고자 합니다.
또하느 Amazon Linux2는 기존의 Linux와 다른 명령어 체계를 사용하는것 같더군요.
따라하시면서 명령어가 안된다면 Linux2가 아닌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꼭 일반 리눅스를 선택하세요.
우리에게 중요한 요금입니다.... 네 3.5달러! 1달 풀가동 했을 때 요금입니다. 인스턴스를 중지하면 요금도 멈추지만
1달 풀로 사용해도 햄버거 1개 가격도 안하는군요?
여기서 CPU는 AWS에서 일정 기준으로 쪼갠 속도 단위로 보입니다. 실제 CPU 코어수는 아닌거로 보입니다.
또한 트레픽은 수신은 무제한이며, 발신 트레픽만 1TB입니다. 개인 서버에서 이정도 트레픽이면 충분하실거로 보입니다.
다만 메모리가 많이 아쉽네요.... 512mb ㅠ_ㅜ
'인스턴스 확인'에 내가 알아보기 쉬운 서버 이름을 생성합니다.
위 과정을 거치면 인스턴스에 위와같은 화면이 생성됩니다. 한 20초정도면 구축이 완료되는걸 확인 할 수 있더군요.
IP주소 중 위쪽 IP는 public ip로 외부 접속 시 사용할 IP주소 입니다.
로컬에서 SSH로 콘솔에 접속하기 위해서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kounjeong.tistory.com/3
자 이제 콘솔에 접속하여 Mysql을 설치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sudo yum update -y
를 실행하여 yum을 최신 업데이트 시켜줍니다.
순식간에 엄청난 업데이트 후루룩 지나갈 겁니다. 전 아직까지 이 과정에서 장애나는 것 못보았네요. ^^
업데이트가 끝나면
sudo yum info mysql
로 설치가 가능한 버전을 확인합니다.
전 5.7버전을 설치하였기에
sudo yum install mysql57
을 진행하였습니다.
해당 문구가 나온다면 정상입니다. Y를 입력하여 줍니다.
설치가 끝나면
서비스를 실행시켜줍니다.
외부 (Mysql WorkBench등)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위 명령어를 통하여 Root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숫자와 영어 대소문자 특수문자 까지 다 넣으니 통과가 되더군요.
바로 mysql에 접속하여 보았습니다. Root계정으로 접속이 정상적으로 되신다면 성공입니다.
다음글에서는 WorkBench로 접속해보는 과정과
Spring boot에서 LightSail로 프로세스 실행시키는 과정을 진행하여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컴퓨터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LightSail - 개인서버 구축하기 - 2 [WorkBench연결 및 Jar파일 실행] (0) | 2021.04.02 |
---|---|
[AWS] LightSail - Scale up과 고정IP 설정 (0) | 2021.01.31 |
[AWS] EC2 - SSH 접속 및 Root 권한 (mRemoteNG를 이용하여 접속) (0) | 2021.01.07 |